MAAS는 시간에 따른 마음 챙김 상태의 빈도에서 개인차를 평가합니다. 이 척도는 15개의 항목(1-6 리커트 척도)으로 구성된 설문지로, 성향적(또는 특성적) 마음 챙김을 평가합니다.
이 척도는 모든 인간이 내부 및 외부 경험에 대한 '레이더', 즉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이해를 기반으로 합니다. 인식의 초점을 맞춤으로써 의식이 형성됩니다. 마음 챙김은 현재 경험 또는 현재 순간에 대한 주의와 인식을 강화하는 것입니다.
이 척도는 성향적 마음 챙김을 중립적인 개념으로 유지하기 위해 기분, 태도 및 동기를 의도적으로 제외합니다. MAAS는 마음 챙김 또는 부주의 경향을 측정합니다. MAAS 점수는 자기 의식, 반추 및 자기 성찰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입니다.
아래는 일상적인 경험에 대한 문장 모음입니다. 아래의 1-6 척도를 사용하여 현재 각 경험을 얼마나 자주 또는 드물게 경험하는지 나타내십시오.
당신의 경험을 실제로 반영하는 내용을 바탕으로 답변하고,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내용이 아니라 실제 내용을 바탕으로 답변하십시오. 각 항목은 다른 항목과 별도로 처리하십시오.
Brown, K.W. & Ryan, R.M. (2003).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: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-being.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, 84, 822-848.
Carlson, L.E. & Brown, K.W. (2005). Validation of the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 in a cancer population.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, 58, 29-33.
집중→몰입→플로우→성찰을 통해 지행합일의 깨달음, 견고한 신념과 경이로운 마음의 성장을 이룬다.
Brown, K.W. & Ryan, R.M. (2003).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: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-being.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, 84, 822-848.
Carlson, L.E. & Brown, K.W. (2005). Validation of the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 in a cancer population.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, 58, 29-33.
집중→몰입→플로우→성찰을 통해 지행합일의 깨달음, 견고한 신념과 경이로운 마음의 성장을 이룬다.